A PHP Error was encountered

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LANGUAGE

Filename: libraries/user_agent_parser.php

Line Number: 226

A PHP Error was encountered

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LANGUAGE

Filename: libraries/user_agent_parser.php

Line Number: 226

알림마당 > 뉴스레터 - 베트남의 스마트 시티 현황과 한국 기업의 진출

알림마당 행복 경제의 새바람
경북 프라이드 기업

베트남의 스마트 시티 현황과 한국 기업의 진출

경북 수출지원 해외 서포터즈 / 김도연(베트남)

 

 

동남아에서 가장 빠른 도시화 속도를 보이는 베트남은 스마트시티(Smart City) 를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고 있다. 정부의 전략적 정책과 민관협력, 그리고 한국 기업과의 기술 협력이 결합되면서 베트남은 ‘스마트 전환’의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기준 베트남의 도시 수는 902개, 도시화율은 44.3%에 이르며, 2030년에는 50%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베트남이 경제 성장과 농촌-도시 간 인구 이동을 기반으로 꾸준히 도시화를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인프라 수용 한계와 사회적 압력으로 인해 도시화 속도가 다소 둔화되는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 즉, 베트남이 현재 도시화의 고조기에 있는 반면 중국과 동아시아는 이미 안정기에 접어든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베트남 정부는 스마트시티 모델을 지속 가능한 발전의 해답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스마트시티 발전을 위한 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한국을 비롯한 국제 기술 기업들과의 협력 기회를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베트남 각 도시별 스마트시티 사업

 

하노이시 (Hanoi)

하노이시는 현재 북하노이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2032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교통관제센터를 업그레이드하고 AI 기반 카메라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도시 관리 효율화를 위한 인프라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전시(全市) WAN 구축, 가구의 93.15%에 대한 광케이블 보급, 시민의 81.7% 스마트폰 보급 등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었다.

 

앞으로 하노이시는 도시 관리 및 공공 서비스 분야에서 신기술 시범 계획과 클라우드 기반 행정 데이터센터 임차 운영 계획을 시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공공 서비스 온라인화, 전자 원스톱 시스템 구축, 국가 데이터베이스 연계 완성을 목표로 디지털 행정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 북부 하노이에서는 한국 기업이 주도하는 스마트시티 구축 프로젝트가 두드러진다. 대우건설 베트남(Daewoo E&C Vina)은 하노이에 ‘스타레이크시티(Starlake City)’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2년 착공 이후 2017년에는 주변 도로 연결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2020년에는 베트남 정부청사와 한국대사관이 입주하면서 외교 단지가 조성되었다. 이어 상업시설, CMC 데이터센터, 삼성 베트남 R&D센터, 호텔 및 오피스 등 복합 시설이 순차적으로 들어서면서, 베트남 내에서 한국 기업 주도의 대표적인 스마트시티 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

 

 

베트남 하노이 대우건설의 스타레이크 스마트시티 사업 

(출처: 대우건설베트남)

 

호치민 (Hochiminh)

호치민시는 스마트시티 1단계 개발을 완료하고, IOC(통합운영센터) 의 안정적 운영을 통해 다분야 데이터 통합을 실현하였다. 행정구역 통합 이후 인구 약 1,400만 명을 아우르는 베트남 최초의 메가시티로 부상했으며, 국내총생산(GRDP)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호치민시는 스마트시티 개발 2단계에 착수했다. 2025~2027년 기간에는 스마트 교통(메트로 1호선), 스마트 의료, 스마트 교육 등 핵심 프로젝트의 기반을 구축하고, 2027~2030년에는 사업을 전면 확대해 ASEAN 상위 3대 스마트시티, 디지털경제 비중 4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30~2035년에는 혁신 허브(innovation hub) 로 도약하며, 2045년에는 인구 1,800만~2,000만 명 규모의 초대형 도시로 성장해 국가 GDP의 30~40%를 담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한국의 롯데건설은 호치민 투티엠(Thu Thiem) 지역에서 ‘투티엠 에코스마트시티(Eco Smart City)’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이 프로젝트는 쇼핑몰, 호텔, 아파트, 상업시설 등을 포함하는 복합 스마트 단지로, 친환경 기술과 디지털 기반 생활 인프라를 결합한 차세대 도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롯데건설이 추진중인 호치민 투티엠 에코스마트시티 전경 

(출처: 롯데건설 웹사이트)

 

GS건설은 베트남 정부와의 협업을 통해 건설, 교통, 공공시설 서비스를 베트남 남부 나베, 롱빈 신도시에 한국형 스마트시티 ‘GS 메트로 시티 나베 (GS Nah Be Zeitgeist)’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다.

 

 

GS건설 호치민 GS나베 스마트시티 조감도 

(출처: GS건설 웹사이트)

 

다낭 (Da Nang)

2024~2025년에 다낭시는 825억 동 상당의 4개 프로젝트를 완공할 계획이다. 그 외에, 진행 중인 8840억 동의 8개 프로젝트: 지휘센터 현대화(4,040억 동), 녹색·스마트도시 회복력 통합 통제센터(2,580억 동) 등을 완공할 계획이다. 그리고 유료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도입, 전자 결제·온라인 공공 서비스 확산하기로 했다. 2030년에 6대 축, 16 개 분야의 스마트 시티 생태계를 완비하며 2045년에 살기 좋은 스마트 시티, ASEAN 네트워크 연계, 창업·혁신의 도시로 선도하는 비전을 향하고 있다.

 

 

다낭시 스마트시티 전경 

(출처: Nhan Dan)

 

빈즈엉 (Binh Duong)

 

빈즈엉은 ‘정부–기업–대학/연구소’의 3자 협력 모델을 기반으로, 각 주체가 역할을 분담하면서도 상호 의견과 데이터를 공유하여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을 추구한다. 빈즈엉 스마트리전은 2018년 세계 스마트커뮤니티 포럼(ICF) 정회원이 되었으며, 2019–2020년 연속으로 세계 21대 스마트시티 전략지역에 선정되었다. 또한 2018년 세계과학기술도시연합(WTA) 회원으로 가입하였다.

 

 

빈즈엉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조감도. 

(출처: vneconomy.vn)

 

 

한국 건설사에게 새로운 기회의 땅

 

한국의 국내 건설업이 불황을 맞이하고 이 시점에 한국 건설 기업의 베트남 스마트시티 사업에 대한 진출은 희망적 기회라고 볼 수 있다. 한국과 파트너십에 대해서 베트남은 한국을 스마트 인프라 및 기술 분야 최대 FDI 투자국 중 하나로 지정하고 있다. 양국 협력의 제도적 기반으로, 최근 베트남 건설부와 한국 국토교통부는 건설/도시관리연수원 내에 ‘베트남-한국 스마트 시티 및 건설기술 협력센터(VKC)’를 개소했다. 총 75억 원(1,382억 동)의 투자로 설립된 VKC는 스마트 시티와 첨단 건설기술 연구·교육을 촉진하고, 기업 간 네트워크를 강 화하여 베트남 스마트 시티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울러 한국 주요 기업인 삼성, LG, SK는 호찌민, 하이퐁, 다낭 등지에서 IoT, 빅데이터,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개발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국 부산·송도의 IoT, 5G, 데이터 기반 도시관리 경험은 베트남의 지역 실정에 맞게 조정하여 벤치마킹하는 중요한 참고 모델이 되고 있다. 

 

특히 한국 정부는 베트남 투자개발사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대규모 금융이 필요한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유/무상 공적개발원조(ODA)와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연계한 패키지 지원을 계획하고 있어 베트남 스마트시티 사업은 한국-베트남 양국간 정부, 민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회로 모색할 수 있다.

 

 

 

※ 위 원고는 현지 외부 전문가가 작성한 원고로, (사)경북PRIDE기업 CEO협회의 공식 의견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