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HP Error was encountered

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LANGUAGE

Filename: libraries/user_agent_parser.php

Line Number: 226

A PHP Error was encountered

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LANGUAGE

Filename: libraries/user_agent_parser.php

Line Number: 226

알림마당 > 뉴스레터 - 빈곤과 비만이 공존하는 필리핀

알림마당 행복 경제의 새바람
경북 프라이드 기업

빈곤과 비만이 공존하는 필리핀

8.jpg

경북 수출지원 해외 서포터즈 / 조상우(필리핀)

 

 

경제 성장과 소득 분류

 

필리핀은 최근 몇 년간 꾸준한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빈곤과 영양 불균형이라는 복합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는 개발 단계의 과도기적 현상을 넘어, 장기적으로 국가 경쟁력을 제약할 수 있는 구조적 위험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빠르게 확산되는 필리핀의 비만 문제가 사회에 미치는 부담을 살펴보고자 한다.

 

세계은행은 매년 7월 1일을 기준으로 전년도 1인당 국민총소득(GNI)을 집계해 각국을 소득 수준별로 분류한다. 저소득국(1,135달러 이하), 저중소득국(1,136~4,495달러), 고중소득국(4,496~13,845달러), 고소득국(13,846달러 이상)으로 구분되며, 이는 세계 경제에서 국가 위상을 가늠하는 기본 척도로 활용된다.

 

2024년 기준 필리핀의 1인당 GNI는 4,470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고중소득국 하한선인 4,496달러에 26달러가 부족해 저중소득국으로 분류됐다. 필리핀 정부가 수년째 ‘고중소득국 진입’을 국가적 과제로 제시해왔다는 점에서, 이러한 결과는 정치적·사회적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2024년 기준, 필리핀의 1인당 GNI는 4,470달러로 집계되었다.

(출처: World Bank)

 

 

아세안 내 격차

 

다른 아세안 주요국과 비교하면 격차는 더 뚜렷하다. 말레이시아는 11,670달러, 태국은 7,120달러, 인도네시아는 4,910달러로 모두 고중소득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베트남은 4,490달러로 필리핀과 동일하게 저중소득국 범주에 머물렀으나, 제조업 중심 수출 구조와 적극적인 산업정책을 고려할 때 필리핀이 단기간에 이를 따라잡기는 쉽지 않다.

 

국내총생산(GDP) 기준으로도 차이는 분명하다. 2023년 1인당 GDP는 말레이시아 12,090달러, 태국 7,335달러, 인도네시아 4,919달러인 반면, 필리핀은 3,906달러에 불과해 이들 국가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는 경제 총량의 성장과 국민이 체감하는 생활 수준 사이의 간극을 보여준다.

 

 

빈곤 현황과 지역 격차

 

필리핀 통계청(PSA)에 따르면 2023년 전체 인구의 15.5%에 해당하는 1,754만 명이 빈곤층으로 분류됐다. 이는 2021년 대비 2.6%p 감소한 수치이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가구 단위로는 전체 가구의 10.9%에 해당하는 300만 가구가 빈곤 가구로 조사됐다. 5인 가족 기준 월 13,873페소(약 250달러) 이하의 소득으로 생활하는 경우 빈곤층으로 분류되는데, 이는 절대적인 생활 안정성을 보장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금액이다.

 

 

 

2023년, 전체 인구 15.5%에 해당하는 1,754만 명이 빈곤층으로 분류됐다.

(출처: 필리핀 통계청)

 

 

또한 극빈층도 적지 않다. 전체 인구의 5.9%, 즉 162만 가구는 월 9,550페소(약 170달러)조차 벌지 못해 기본 식품 구매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들 가구는 대부분 비공식 경제에 종사하거나 농업·어업 등 생산성이 낮은 1차 산업에 집중되어 있다. 직업별로는 농민(빈곤율 27.0%), 어민(27.4%), 원주민(32.4%)이 가장 열악한 처지에 놓여 있으며, 이는 생산구조의 불균형을 보여준다.

 

지역별 격차는 더욱 심각하다. 방사모로 자치구(BARMM)의 빈곤율은 37.2%에 달하는 반면, 수도권은 3.5%에 불과하다. 이는 단순한 소득 격차뿐만 아니라 보건·교육 등 사회 기반 서비스에서 지역 간 편차가 크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필리핀 정부가 설정한 빈곤선은 국제적 기준에 비해 지나치게 낮다는 지적을 받는다. 2023년 정부 빈곤선은 1인당 하루 92.49페소(약 1.67달러)에 불과했으나, 세계은행의 국제 빈곤선은 3.65달러(2023 PPP 기준)로 책정됐다. 세계은행은 단순 환율이 아닌 구매력평가(PPP)를 적용하기 때문에 실제 생활비를 더 정확히 반영한다. 이러한 차이는 필리핀 빈곤 규모가 실제보다 축소 보고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특히 식비는 하루 63페소 수준으로 계산되어 1인 3끼 기준 21페소(약 0.38달러)에 불과하다. 그러나 시장에서 형성된 쌀·채소·단백질 식품 가격을 고려하면 이 기준으로는 최소한의 영양 섭취조차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민간 연구자와 비정부기구(NGO) 관계자들은 필리핀 정부가 빈곤 규모를 실제보다 축소 보고하고 있으며, 이는 정책 실효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라고 비판한다.

 

 

 

“필리핀인, 하루 세 끼에 64페소만 지출해도 ‘식량 빈곤층’ 아니다”는 기사 제목

(출처: philstar 기사 캡쳐)

 

 

급증하는 비만과 사회적 부담

 

빈곤과 영양결핍이 여전히 심각한 가운데, 필리핀은 역설적으로 비만의 급속한 확산이라는 또 다른 보건 위협에 직면해 있다. 2025년 현재 성인 비만율은 38~40% 수준으로 추산되며, 2030년에는 3,400만 명 이상이 과체중 또는 비만 상태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연평균 비만 증가율은 성인 4.6%, 아동 6.9%로 아세안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2000년대 초반만 해도 필리핀 남성 비만 인구는 100만 명 미만이었으나, 2030년에는 300만 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기간 여성 비만 인구는 150만 명에서 400만 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청소년(10~19세)의 과체중·비만 유병률은 2003년 4.9%에서 2024년 13% 이상으로 급등했으며, 5~10세 아동의 14%가 과체중 또는 비만으로 분류된다. 특히 도시 거주 청소년과 사회경제적 상위 계층에서 높은 비율을 보인다.

 

이처럼 한 국가 내에서 빈곤과 비만이 동시에 확산되는 현상을 ‘영양이중부담(Double Burden of Malnutrition)’이라 한다. 이는 한 사회 또는 개인 수준에서 영양실조(undernutrition)와 과영양(overnutrition)이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저소득국에서는 영양실조가, 고소득국에서는 비만과 과체중 문제가 주로 발생했으나, 도시화·소득 증대·식습관 변화 등으로 인해 저소득국에서도 두 문제가 동시에 발생하고 있다.

 

필리핀은 이러한 ‘영양이중부담’이 개인과 가구 단위에서 모두 나타나는 대표적 사례다. 2013년 국가영양조사 결과, 전체 가구의 56%가 ‘영양이중부담’ 가구로 분류됐다. 같은 가구 내에서 일부 성인은 영양과잉, 다른 일부는 영양부족 상태에 놓여 있었다. 즉, 필리핀은 한편에서는 영양실조로, 다른 한편에서는 과영양으로 고통받는 이중위기(double jeopardy) 상황에 직면해 있는 것이다.

비만 증가는 이미 사회·경제적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다. 2021년 한 해에만 비만 관련 질환으로 필리핀에서 조기 사망한 사람이 3만 명을 넘어섰다. 당뇨병, 심혈관 질환, 고혈압 등 만성질환 발병률이 빠르게 늘면서 의료 재정 부담도 확대되고 있다. 2035년까지 비만 관련 비용이 GDP의 2.4%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단순한 보건 문제를 넘어 국가 경제 성장을 저해하는 구조적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

 

 


필리핀 유명 프랜차이즈 졸리비 판매 아침식사

(출처: 조상우)

 

 

정책 현황과 타국과 비교

 

필리핀 정부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2018년 설탕세(리터당 6페소)를 도입했다. 이 조치만으로도 향후 20년간 약 2만 4천 명의 조기 사망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비만 확산 속도에 비하면 이는 단편적인 조치에 불과하며, 정책의 강도와 종합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지속되고 있다.

 

다른 아세안 국가들과 비교하면 이러한 한계는 더욱 두드러진다. 싱가포르는 ‘Life’s Sweeter with Less Sugar’ 캠페인을 시행해, 무당 음료 구매 시 소비자가 직접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보상책을 마련해 가시적인 성과를 냈다. 태국은 ‘Healthier Choice’ 캠페인을 통해 당류 저감 제품 라벨링을 강화하고, 소비자 인식 개선과 업계의 자율적 혁신을 동시에 유도해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와 비교할 때 필리핀은 정책적 리더십, 규제 역량, 시민 참여 모두에서 여전히 미흡하다.

 

 

 

싱가포르의 ‘Life’s Sweeter with Less Sugar’ 캠페인

(출처: Health Promotion Board Singapore 페이스북)

 

 

해결책 및 대안

 

전문가들은 빈곤 해소와 비만 억제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을 제안한다. 첫째, 빈곤선을 국제 기준에 맞게 조정해 실제 빈곤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고 정책의 실효성을 높인다. 둘째, 고당분 음료와 청소년 대상 패스트푸드 광고를 제한하는 등 식품 산업 규제를 강화해 소비 환경을 개선한다.

 

셋째, 학교 급식을 영양가 있는 식단으로 개선하고 신선식품 구매 보조금을 지급해 누구나 건강한 먹거리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넷째, 공원과 체육시설을 확충하고 안전한 보행·자전거 도로를 정비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신체 활동이 가능하도록 환경을 조성한다.

 

마지막으로, 아동·청소년 대상 건강 교육을 체계화하고 조기 검진 및 만성질환 관리 프로그램을 도입해 예방과 치료를 강화한다. 이러한 다섯 가지 전략이 동시에 실행될 때 빈곤 완화와 비만 예방이라는 두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빈곤 해소와 비만 억제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을 제안한다. 첫째, 빈곤선을 국제 기준에 맞게 조정해 실제 빈곤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고 정책의 실효성을 높인다. 둘째, 고당분 음료와 청소년 대상 패스트푸드 광고를 제한하는 등 식품 산업 규제를 강화해 소비 환경을 개선한다. 셋째, 학교 급식을 영양가 있는 식단으로 개선하고 신선식품 구매 보조금을 지급해 누구나 건강한 먹거리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넷째, 공원과 체육시설을 확충하고 안전한 보행·자전거 도로를 정비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신체 활동이 가능하도록 환경을 조성한다. 마지막으로, 아동·청소년 대상 건강 교육을 체계화하고 조기 검진 및 만성질환 관리 프로그램을 도입해 예방과 치료를 강화한다. 이러한 다섯 가지 전략이 동시에 실행될 때 빈곤 완화와 비만 예방이라는 두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필리핀은 구조적 빈곤 문제와 빠른 비만 확산이라는 상반되지만 동시에 존재하는 이중 도전에 직면해 있다. 빈곤선 과소평가로 인해 통계가 실제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비만 억제 정책은 여전히 단편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빈곤과 비만이라는 이중부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지 못한다면, 필리핀은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불평등과 재정 악화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포용적 성장, 식생활 개선, 지역 균형 발전, 보건 정책 역량 강화가 종합적으로 뒷받침되어야만 안정적인 고중소득국 진입과 지속 가능한 발전이 가능하다.

 

 

※ 위 원고는 현지 외부 전문가가 작성한 원고로, (사)경북PRIDE기업 CEO협회의 공식 의견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