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LANGUAGE
Filename: libraries/user_agent_parser.php
Line Number: 226
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LANGUAGE
Filename: libraries/user_agent_parser.php
Line Number: 226
트럼프 관세 전쟁, 생활 물가고로 이어질까 | |||
---|---|---|---|
경북 수출지원 해외 서포터즈 / 권영일(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 폭탄을 터뜨린 이튿날인 4월 3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는 거센 태풍을 맞았다. S&P500 지수는 단 이틀 만에 10% 가까이 급락했고, 나스닥 역시 고점 대비 20% 이상 빠지며 시장은 공포에 휩싸였다. 하루 만에 증발한 시가총액만 3조 1,000억 달러. 2020년 3월 이후 최대 규모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불도저식 관세 정책으로 미국 경제는 물론 세계 경제가 요동치고 있다. (출처: VOA 자료사진)
달러 가치 역시 올해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달러 지수는 2023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으며, 유로화·엔화 등 주요 통화에 비해 1% 이상 하락했다. 불과 한 달 전만 해도 ‘봄날’ 같던 금융시장은, 갑작스레 몰아친 관세 폭풍에 겨울로 되돌아간 모양새다. 새 관세 계획이 상대국의 보복을 촉발하고, 나아가 미국 경제에 타격을 줄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었다.
여기에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무역 전쟁의 충격이 심각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투자자들의 신뢰는 더욱 흔들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인 4월 2일, 캐나다·멕시코·러시아·북한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한 모든 교역국에 10% 기본 관세를, 무역 적자 규모가 큰 약 60개국에는 최대 49%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이러한 시장의 혼란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는 "이것(관세 발표)은 수술이며, 환자가 수술을 받는 것과 같다"고 진단하며 “시장은 곧 회복되고, 주식도 다시 호황을 누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미국인들의 불안은 가시지 않고 있다. 물가가 더 오르지 않을까 걱정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미국의 인플레이션 문제는 트럼프 집권 이후 갑자기 발생한 것이 아니다. 조 바이든 정부 시절부터 급격한 물가 상승세가 이어져 왔다. 연방정부가 서민 복지를 명분으로 막대한 재정을 풀었기 때문이다.
이후 연방준비제도는 치솟는 소비자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잇따라 인상했지만, 물가는 잡히지 않은 채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며 스태그플레이션 양상을 보였다.
그 여파는 컸다. 많은 기업들이 전년 대비 15%, 많게는 30% 가까운 매출 감소를 겪었고, 대기업들은 대규모 구조조정에 나섰다. 자영업자들의 폐업도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서민들이 체감하는 충격도 상당하다. 미국의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학자금 대출 등의 대출 금리가 급격히 오르면서 생활비 부담이 크게 늘었다. 바이든 정부에서 시작된 실정을 결국 트럼프가 고스란히 책임지는 모양새가 되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국 소비자들은 최근 식료품 가격 상승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출처: Entrepreneur)
미 가구당 관세비용 몫 2,100~3,500달러 추산
트럼프발 글로벌 관세 전쟁이 본격화되자,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소뚜껑 보고 놀란 격이다.
특히 식료품 가격이 문제다. 관세의 영향을 소비자들이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곳이 바로 과일·채소 등을 판매하는 식료품점이기 때문이다. 전국식료품점협동조합(NCG)은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과일과 채소 대부분의 소매 가격이 15~25%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보카도처럼 수요가 많은 과일은 최대 35%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육류 또한 관세율 상승의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보이며, 공급이 부족해 수입에 의존하는 커피, 귀리, 코코아 등의 가격도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
한국 기업들이 다수 진출해 있는 조지아주의 경우, 농업 규모가 740억 달러에 달한다. 보복 관세의 타깃이 될 경우, 조지아 농가들이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트럼프 1기 당시, 미국이 중국에 3,000억 달러 규모의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은 미국산 콩, 옥수수, 피칸 등에 맞불 관세로 대응한 바 있다.
문제는 식료품뿐만이 아니다. 의류, 전자제품, 장난감 등 대부분의 소비재가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관세 인상은 광범위한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비영리단체 ‘텍스 파운데이션’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지난해 2.5%에서 올해 18.8%로 급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193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결국 이처럼 높아진 관세율 부담은 고스란히 소비자들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다. 올해 미국 소비자들은 가구당 2,100~3,500달러를 추가로 부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반론도 있다. 백악관 측은 “중국에 대해 두 차례에 걸쳐 20%씩 관세를 부과했지만, 지난 4년간 물가는 고작 0.7% 상승에 그쳤다”고 반박하고 있다.
금리 인하가 걸림돌로 남아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도 "경기침체를 고려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자신했다. 그는 최근 주류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지난 3월 양호한 일자리 증가세를 언급하며, "이 사실만 보더라도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베센트 장관은 미 증시 폭락과 관련해 "매우 인상 깊었던 것은 4일(금요일) 기록적인 거래량이 발생했고, 모든 것이 매우 순조롭게 작동하고 있다는 점"이라며 시장 기능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이어 "경기침체가 반드시 발생한다는 가정은 부정한다"면서 "우리가 주목할 것은 번영을 위한 장기적 경제 기반을 구축하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러한 상황을 "조정의 과정"이라고 정의하며,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이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고 (지미) 카터 시대의 침체를 극복했을 당시에도 약간의 불안정은 있었지만, 그는 그 과정을 견뎌냈고, 우리도 그 과정을 견뎌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대반전이 일어났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 국가별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워싱턴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매개로 각국과의 협상의 물꼬를 텄다고 판단한 결과”라고 분석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관련하여, “사람들이 겁을 먹어서”라고 유예 조치의 이유를 설명했지만, 베센트 장관은 "이 모든 것이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 전략"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트럼프 정부는 미국에 정면 대응하고 있는 중국에 대해서는 관세율을 104%에서 21%p 더 인상한 반면, 미국과의 협상에 나선 한국을 비롯한 70여 개국에 대해서는 한시적으로 관세율을 인하했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주식시장은 다시 폭등세로 돌아섰다. 직장인들의 은퇴연금과 직결되는 S&P500 지수도 상승세를 탔으며, 휘발유 가격도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국제 유가는 최근 배럴당 60달러 선에서 꾸준히 거래되며, 4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주식시장 폭락에 가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유가는 이틀 만에 15% 가까이 급락한 상태다.
최근 애틀랜타 지역 개솔린 가격은 개론당 3달러 대에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국제 유가 안정으로 미국 서민들은 부담이 크게 줄었다. (출처: AJC 자료사진)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걸림돌은 남아 있다.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업과 가계의 금융 부담을 덜 수 있는 금리 인하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FED는 지난 2월과 3월, 두 차례 연속 금리 인하를 동결했다. 이에 따라 고금리와 물가 상승에 신음하는 미국 가계는 아직 지갑을 쉽게 열지 못하고 있다.
※ 위 원고는 현지 외부 전문가가 작성한 원고로, (사)경북PRIDE기업 CEO협회의 공식 의견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