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LANGUAGE
Filename: libraries/user_agent_parser.php
Line Number: 226
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LANGUAGE
Filename: libraries/user_agent_parser.php
Line Number: 226
중국, ‘AI+’로 미래를 재구성하다 | |||
---|---|---|---|
경북 수출지원 해외 서포터즈 / 임지연(중국)
세계가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격변의 소용돌이 속에 있는 가운데, 중국은 ‘AI+’ 정책을 통해 이 흐름의 방향을 재설정하려는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전 구글 차이나 대표 리카이푸(李開復)가 설립한 AI 스타트업 ‘01.AI’가 경량화된 AI 모델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소식이 주요 언론을 통해 조명되면서, 중국 내 AI 열풍에 다시 한 번 불을 지피고 있다.
01.AI의 창립자이자 AI 전문가인 리카이푸는 최근 현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중국과 미국 간 AI 기술 격차가 이제 3개월 이내로 좁혀졌다”고 밝히며, 중국 AI 기술의 자립성과 글로벌 경쟁력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에 대해 주요 현지 매체들은 단순한 낙관에 그치지 않고, 국가 전략적 지원, 시장의 빠른 수용성, 그리고 민간 기업들의 민첩한 기술 개발력을 바탕으로 중국 AI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본 글에서는 중국 AI 산업이 국가 핵심 전략으로 부상하게 된 배경과 그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세계 최대 기술 전시회인 ‘MWC 2025’에서 중국 기업들이 선보인 기술적 성과, 그리고 민간 기업들의 기술 혁신과 산업 구조의 변화를 통해 중국 AI 산업의 역동성과 전방위적 확장성을 입체적으로 조명해 보고자 한다.
지난해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인공지능 경합 대회 현장 모습 (출처: 바이두 이미지 DB.)
양회에서 드러난 ‘AI+’ 국가 전략
2025년 3월 초 개최된 중국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는 ‘AI+’가 핵심 의제로 부상하였다. 리창 국무원 총리는 정부 업무보고에서 “디지털 기술과 실물 경제의 심층적 통합을 촉진하고, 인공지능을 포함한 핵심 기술을 산업 전반에 적용해 경제의 고도화와 효율화를 실현하겠다”고 강조하였다.
이는 제조업, 의료, 교육, 운송 등 전 산업 분야에 AI 기술을 심층적으로 접목하고자 하는 국가 주도의 전략으로, 단순한 기술 융합을 넘어 전 사회적인 구조 전환을 예고하는 발언으로 평가된다. 중국 정부는 2025년 GDP 성장률 목표를 5%로 설정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수단으로 인공지능 기술의 확산과 응용을 지목하였다. 특히 스마트 제조의 확산, 소비자 맞춤형 서비스의 확대, 고령화 사회에 대한 능동적 대응 등 다양한 국가적 과제를 AI 기반 솔루션으로 해결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러한 정책 기조는 대형 테크 기업은 물론, 지방정부와 스타트업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주체들에게 명확한 방향성과 강한 동기를 부여하고 있다.
중국 당국의 전략적 기조에 발맞춰, 민간 대형 IT 기업들도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텐센트(Tencent)의 펑리(馮力) 부총재는 “국가 전략에 부응해 AI 기술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겠다”며, 2025년 자본적 지출(CAPEX)을 대폭 확대, AI 인프라 구축과 대형 언어 모델 개발에 집중할 계획임을 밝혔다.
바이두(Baidu) 역시 자사의 대표 AI 언어 모델 시리즈인 ‘어니(ERNIE)’의 최신 버전 ‘X1’을 공개하였다. ERNIE X1은 1.6조 개의 파라미터를 탑재하고 있으며, 미국 오픈AI의 GPT-4와 유사한 수준의 고도 언어 처리 능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바이두 측은 이를 통해 기술적 진보를 입증하고 있으며, 해당 모델을 검색, 클라우드, 자율주행 등 다양한 분야에 상업적으로 적용하는 방안도 시험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인공지능 빅데이터 블록체인 디지털 경제 교육혁신포럼’ 당시 모습. 중국 전역의 대학과 기관이 공동 주관했으며, ‘산학협력과 공동 교육’을 주제로 인공지능과 디지털 경제 교육의 발전 방향이 주요 논제로 논의됐다. (출처: 웨이보.)
2025년 3월 말,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는 전 세계 2,000여 개 기업과 10만 명이 넘는 관람객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열렸다. 이 자리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중국 기업들의 존재감이 한층 더 강화되었다는 점이었다. 중국의 주요 통신사와 기술 대기업들은 AI 기술의 응용 가능성을 다양한 방식으로 선보이며 관람객과 업계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중국유니콤은 자사의 대형 언어 모델 ‘위안징(元景)’을 중심으로 독창적인 인터랙티브 포토 부스를 선보였다. 이 부스는 단순한 이미지 인식을 넘어, 관람객이 포즈를 취하고 셔터를 누르면 AI가 사진을 분석하여 감정, 장소, 시간대, 분위기 등을 포함한 감성적 설명을 자동 생성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사진 속 미소가 따뜻한 봄날의 공기를 떠올리게 합니다. 당신의 하루는 오늘보다 더 따뜻할 거예요.”와 같은 멘트는 기술의 한계를 넘어 정서적 교감을 시도하는 새로운 AI의 방향성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받았다. 스페인의 기술 전문 매체 Tecnologia Futuro는 이를 “중국 AI 기술이 단순한 효율성 차원을 넘어 감성을 탐색하는 단계에 접어들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장면”이라고 극찬했다. 실제로 해당 부스는 하루 종일 긴 줄이 이어졌고, 많은 관람객들이 AI가 생성한 감성 문구를 SNS에 공유하며 ‘위안징’이라는 이름을 전 세계에 확산시켰다.
음성인식 전문기업 아이플라이텍(iFlytek)은 짧은 음성 명령을 기반으로 단편 영화를 자동 생성하는 기술을 선보이며 몰입도를 높였다. 관람객이 예를 들어 “도시의 밤, 외로운 로봇이 사랑을 찾아 나선다”라고 말하면, AI가 이를 즉석에서 시나리오로 구성하고 배경 음악과 애니메이션을 결합해 약 2분짜리 영상을 완성한다. 현지 언론은 이를 “기술적 시연을 넘어 AI가 창작의 영역에 진입하고, 감정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했다.
화웨이는 자사의 최신 스마트 디바이스에 탑재된 ‘AI 맞춤형 인터페이스’를 소개했다. 이 기술은 사용자의 표정, 위치, 사용 습관 등을 분석해 홈 화면과 기능 배치를 자동으로 조정, 사용자 친화성과 몰입도를 높이는 데 중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샤오미는 AI 기반 스마트홈 허브, ZTE는 6G 네트워크와 결합한 산업용 AI 모니터링 솔루션을 선보이며, AI 기술의 활용 범위가 가정은 물론 산업 현장과 공공안전 분야까지 확장되고 있음을 입증했다.
이번 행사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난 중국 기업들의 전략은 ‘기술의 대중화’와 ‘경험 중심의 AI 응용’이었다. 이들은 AI를 단순한 기술 성과로 보기보다는 일상 속 사용자 경험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진보적 도구로 접근하고 있었으며, 이는 중국이 글로벌 기술 패권을 향해 전략적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된다.
중국의 AI 기술은 이번 MWC 2025에서 감성 인식, 창작 능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혁신, 산업 자동화 등 전방위적인 기술 스펙트럼을 아우르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이것은 단순한 기술 경쟁력의 우위를 넘어서, 향후 글로벌 기술 표준을 선점하고 중국식 디지털 생태계 확장 가능성을 구체화한 사례로 평가된다. 현지 주요 매체들 또한 “AI의 미래가 ‘기술 중심’에서 ‘인간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중국 기업들이 이 변화의 흐름을 선도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기술 표준화와 제도적 정비
기술 발전과 더불어, 중국은 AI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2024년 말, 중국공업정보화부는 ‘AI 표준화 기술위원회’를 공식 출범시켰으며, 2025년 3월에는 위원회의 첫 번째 정책 자문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이 보고서에는 대형 언어 모델의 투명성 확보, 알고리즘 편향 방지, 정보 보안 강화 등을 위한 기준안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보고서는 바이두, 텐센트, 칭화대학교, 중국과학원 등 산업계와 학계 전문가 약 40여 개 기관이 공동 참여한 가운데 작성되었으며, 핵심 과제로 AI 기술의 확산 속도에 뒤처지지 않는 '중국표준' 수립을 제시하였다.
위원회는 EU의 AI법(AI Act), 미국의 책임 있는 AI 가이드라인, OECD의 AI 원칙 등 주요 국제 규범을 면밀히 검토하면서도, 이를 단순히 수용하기보다는 ‘중국식 관리 모델’로 재해석해 적용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설정하였다. 중국의 독자적 규제 체계는 다음 세 가지 핵심 축을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다.
1.정치적 정당성 확보 AI 기술은 사회주의 핵심 가치에 부합해야 하며, 당의 통제 아래 질서 있게 발전해야 한다는 원칙이 강조된다. 특히 생성형 AI의 경우, 콘텐츠가 ‘유해한가’를 판단하는 기준은 단지 법률적 판단을 넘어 정치적 가치 판단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국식 기술 통제의 특징이 드러난다.
2.공공 안전성과 사회적 조화 AI가 사회 불안을 야기하거나 소수 집단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는 것을 엄격히 금지하며, 이를 위해 ‘리스크 기반 규제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 특히 안면 인식, 자동화된 신용 평가, 대규모 감시 시스템 등 고위험군 AI 기술은 허가제를 원칙으로, 중앙 정부의 사전 심사와 인증을 필수 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다.
3.문화적 전통과 디지털 주권 반영 중국은 서구의 개인주의적 데이터 보호 관점과는 달리, 공동체의 안정과 국가 중심의 데이터 주권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AI가 사용하는 모든 데이터는 국내에서 수집·처리·저장되어야 하며, 이는 이른바 ‘본토화된 알고리즘 통제’로 불린다. 데이터는 기업의 자산이기 이전에 국가의 전략적 자산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규제 프레임은 단지 산업 통제를 위한 수단에 그치지 않고, 산업 진흥을 위한 인센티브 체계로도 기능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안전 인증을 받은 기술’에 대해 상용화와 수출을 적극 장려하고 있으며, ‘표준 기반 경쟁력 확보’를 통해 자국 기술의 글로벌 확산을 도모하고 있다. 2025년 현재, 베이징, 상하이, 선전 등 6개 도시에서 ‘AI 윤리 인증 시범지구’가 운영 중이며, 인증을 획득한 기업은 해외 파트너와의 협력 기회 확대, 정부 보조금 우선 지원 등 실질적 혜택을 받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독자적 규제 체계는 일부 외부의 시각에서는 폐쇄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중국 내부에서는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보장하는 긍정적 제도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는 AI 기술의 급속한 확산에 따른 사회적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도, 산업의 장기적 성장을 위한 제도적 토대를 마련하려는 전략적 접근으로 이해할 수 있다.
AI 기술 발전에 따른 이러한 제도적 대응은 스마트 제조와 도시 정책의 급속한 전환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중국 AI 기술은 전통 산업 구조 전반에 깊이 스며들며 산업 혁신과 행정 효율화를 동시에 촉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저장성 항저우시는 딥러닝 기반 스마트 물류 창고를 도입해 입출고 속도를 38% 향상시켰으며, 광둥성 선전시는 도시 교통 관제에 AI를 접목하여 도로 정체 시간을 21% 단축시켰다. 베이징시 차오양구는 ‘스마트 구청’ 시스템을 전면 도입해 AI 챗봇과 문서 자동 분류 시스템으로 민원 행정 효율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AI 기반 스마트 도시 전략은 전국적으로 확산 중이며, 지역별 산업 특성과 연계된 맞춤형 정책 추진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산업 차원에서는 ‘AI+제조’, ‘AI+교통’, ‘AI+의료’와 같은 융합 산업 생태계가 본격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부는 다음과 같은 전방위적 지원책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AI 포함 스마트 설비에 대한 세제 감면, 클라우드 기반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직접 보조금 지원 등이다. 이러한 조치는 AI 기술이 첨단 산업에 국한되지 않고, 지역경제와 일상 산업 전반에 걸쳐 확산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중국이 AI 기술을 산업 전반의 구조 전환과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삼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글로벌 경쟁과 기술 자립 압박
반면, 중국 AI 산업이 직면한 구조적 과제도 여전히 만만치 않다. 중국의 AI 발전은 단순한 경제 성장의 도구를 넘어, 미국과의 기술 패권 경쟁, 반도체 수출 제한, 데이터 주권 갈등 등 복합적인 국제정세 속에서 기술 자립이 곧 생존 전략으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중국은 AI 산업의 전략적 자립도를 강화하기 위한 다층적 시도를 본격화하고 있다.
1. 반도체 자립: 기술 독립의 최우선 과제
가장 핵심적인 분야는 반도체이다. AI 알고리즘과 딥러닝 기술은 고성능 AI 칩과 GPU에 기반하지만, 현재까지 중국은 미국, 대만, 한국 등 외부 공급망에 일정 부분 의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반도체 국산화 로드맵’을 수립하고, 이르면 올해 말까지 AI 연산용 고성능 반도체의 자급률을 7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대표적으로 칭화유니그룹(Tsinghua Unigroup), SMIC(중신궈지), 화훙반도체(Hua Hong Semiconductor) 등은 정부 보조금과 R&D 지원을 기반으로 AI 특화 칩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바이두(Baidu)는 자사의 대형 언어 모델을 위한 AI 가속기 칩 ‘쿤룬(Kunlun)’을 자체 설계·생산하고 있다.
2. 알고리즘과 언어 모델의 독립화
알고리즘 측면에서도 기술 자립은 중국의 핵심 전략 중 하나이다. 바이두, 텐센트, 알리바바, 화웨이 등은 미국의 GPT, Claude, Gemini 등과 유사한 자체 대형 언어 모델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오픈소스 생태계와는 차별화된 ‘중국식 알고리즘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들 모델은 대체로 중국어 특화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설계되며, 정책 필터링 기능, 민감 단어 감지 기능, 콘텐츠 통제 모듈 등을 고유하게 내장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기술 모방을 넘어 정책적·문화적 자립성을 구현하기 위한 도구로 간주된다.
3. 클라우드 인프라와 데이터 주권 확보
클라우드 및 AI 인프라 분야에서도 국산화와 자립화가 본격화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24년부터 ‘천지망 프로젝트(天地网工程)’를 출범시켜, 중앙정부-지방정부-민간 기업 간의 클라우드 연계 생태계 구축에 나섰다. 이 프로젝트는 중국 내 AI 연산과 데이터 저장 인프라의 완전한 내재화를 목표로 하며, 각 성(省) 단위로 ‘데이터 자주권 센터’가 신설되어, 데이터의 본토화 저장, 처리, 관리 권한을 중앙집중형 체계로 전환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러한 기술 자립 전략은 단기적인 수입 대체에 그치지 않고, 중장기적으로 ‘중국식 디지털 질서’를 확립하기 위한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과학원 2025년 전략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3~5년이 미국과의 첨단 기술 격차를 줄일 수 있는 결정적 시기로 평가되며, 이를 위해 총 3조 위안(약 600조 원) 규모의 산업 펀드가 투입될 예정이다.
이 펀드는 AI 칩 설계 및 생산, 대형 언어 모델 개발, AI 운영체제(OS) 등 핵심 분야에 우선 배정되며, 핵심 기술의 국산화율을 80%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이다. 중국은 이러한 노력을 통해 기술 공급망의 외부 의존도를 줄이는 동시에, ‘AI 독립국가’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려 하고 있다. 이는 단지 기술 개발의 문제가 아니라, 디지털 안보, 데이터 주권, 그리고 국제적 영향력 확장을 위한 국가 전략의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출처: 바이두 이미지DB.)
AI 독립국가가 가진 윤리와 신뢰 강조
AI의 확산은 단순한 기술 발전을 넘어, 윤리적 문제와 사회적 신뢰의 문제와 직결된다. 중국은 기술의 폭발적인 성장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AI의 부작용을 미연에 방지하고, 국민적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에도 집중하고 있다.
2025년 3월, 중국 인터넷정보판공실(網信辦)은 ‘생성형 AI 서비스 윤리지침(草案)’을 전격 공개하고, 이에 대한 공개 의견 수렴 절차를 개시하였다. 지침의 주요 내용에는 다음과 같은 핵심 윤리 규범이 명시되어 있다. 첫째, AI는 인간의 존엄을 해쳐서는 안 된다. 둘째, 사회주의 핵심 가치에 위배되는 결과를 생성해서는 안 된다. 셋째, AI 개발 기업은 알고리즘 원리 및 서비스의 투명성을 사용자에게 명확히 설명할 의무가 있다. 넷째, 자동화된 결정이 개인의 권리나 이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경우, 반드시 인간 개입이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규범은 기술의 발전 속도에 윤리적 제어 장치가 뒤처져서는 안 된다는 위기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AI 산업의 지속 가능성과도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실제로 중국에서는 최근 AI 생성 콘텐츠에 대한 식별 표시 의무가 강화되었고, 딥페이크 영상의 제작 및 유포 행위에 대해서는 최고 징역 7년형까지 가능하도록 형사법 규정이 개정되었다. 이는 AI 기술 악용을 사전에 차단하고, 사회적 신뢰를 기반으로 한 AI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의지의 일환이다. 이와 관련해 중국 사회과학원 법학연구소의 류옌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AI는 신뢰 없이는 지속할 수 없는 기술입니다. 데이터는 공유를 통해 그 가치가 확대되지만, 그 공유는 신뢰가 전제되어야만 가능합니다. 지금 중국은 기술과 사회 사이의 균형점을 설계하려는 단계에 진입한 것입니다.”
AI 세대의 육성 전략
중국 정부는 AI를 산업 성장의 핵심 엔진으로 삼는 동시에, 이에 부합하는 인재 생태계 구축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25년 현재, 중국 교육부는 전국 137개 대학에 ‘AI 전공학과’를 신설하였으며, 58개 대학에는 ‘AI 고급인재 양성 실험실’을 설립·운영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양적 확장을 넘어, 질적으로도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역량을 확보하려는 전략적 투자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중국은 AI 인재의 국제 경쟁력 측면에서도 괄목할 성과를 내고 있다. 2022년 기준, 세계 최고 수준의 AI 연구원 중 47%가 중국 출신으로, 미국(18%)을 압도하는 수치를 기록했다. 또한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생성형 AI 관련 특허 출원 건수는 총 3만 8천 건으로, 미국(6,276건)의 6배 이상을 기록하며 중국이 단순한 AI 소비국을 넘어 창조국으로 전환 중임을 방증하고 있다.
AI 인재 양성은 대학·대학원 수준을 넘어 초·중등 교육으로도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이는 AI 시대에 걸맞은 기초 역량을 조기에 형성하려는 전략적 시도로 주목받고 있으며, 베이징시는 올 가을부터 모든 초등학교에서 연간 최소 8시간의 AI 교육을 의무화할 계획이다. 이는 중국 교육부의 ‘AI 기초 교육 시범도시’ 정책의 일환으로 강력하게 추진되고 있다.
초등 AI 교육의 핵심은 단순한 기술 전달을 넘어, 문제 해결력과 창의적 사고력, 그리고 디지털 시민성을 동시에 함양하는 데 있다. 커리큘럼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알고리즘 사고력과 패턴 인식, 데이터 분석의 기초 개념, 윤리적 AI 활용 방식, 시각적 블록 기반 프로그래밍(예: Scratch, Blockly), AI 로봇 실습 등이다.
수업 방식 또한 전통적인 강의식이 아니라,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 PBL)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내가 만든 스마트 도시’, ‘AI 반려 로봇과 하루 보내기’ 등의 주제를 통해 학생들이 직접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AI 도구를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AI 체험 키트, 교육용 로봇, 음성·얼굴 인식 앱 등을 활용해 AI 작동 원리를 실제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AI 교육 확산을 위한 교사 양성 체계도 함께 마련되고 있다. 베이징시 교육위원회는 2024년 말까지 초등학교 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AI 교육 연수를 실시하고 있으며, 교재는 칭화대 AI교육센터와 화웨이 AI교육연구소가 공동 개발한 표준 지침서를 기반으로 한다. 중국 교육부는 2030년까지 전국 90% 이상의 초등학교에서 AI 기초 교육을 필수화하고, 4학년 이상은 최소 1개 이상의 AI 프로젝트 수행을 권장하는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미래 세대를 단순한 ‘사용자’가 아닌 ‘창조자’로 육성하려는 국가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대학 차원에서도 AI 기술과 인문사회 분야 간의 융합 교육 강화가 본격화되고 있다. 베이징대, 칭화대, 저장대, 상하이교통대 등 주요 명문대학은 딥러닝, 지능형 로봇, AI 윤리 등 분야의 복수 전공제 도입은 물론 AI와 철학, 법학, 심리학 등 인문사회학과의 융합 교과목도 대폭 강화하였다. 특히 칭화대학교는 ‘AI 공공정책 대학원’을 신설, AI 기술 발전이 초래하는 사회적 변화, 법제도, 거버넌스 이슈에 대응할 전문 인재 양성에 나서고 있다.
중국 산업계 역시 AI 인재 확보를 위해 전방위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텐센트, 알리바바, 화웨이 등 주요 테크 기업들은 자체 교육 플랫폼과 산학협력 시스템을 통해 매년 수백 명의 고급 AI 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예컨대, 화웨이는 광둥성 선전시 본사에 ‘AI 캠퍼스’를 설립하여 알고리즘 최적화, AI 반도체 설계, 클라우드 기반 머신러닝 엔지니어링 과정 등을 운영 중이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은 이론 교육과 실무 프로젝트 및 인턴십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수료 후 기업 현장과의 연계가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칭화대학교 AI교육센터의 자오징(赵静) 교수는 “AI 인재는 단지 코딩을 잘하는 기술자가 아니라, 기술의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고 이를 설계에 녹여낼 줄 아는 사람이어야 한다”며, 중국의 AI 교육이 기술과 인문을 아우르는 ‘전인적 인공지능 교육’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강조하였다.
2025년을 기점으로 중국의 인공지능 산업은 새로운 전환점을 스스로 만들어내고 있는 양상이다. 이제 AI는 단순한 기술 실험이나 개별 기업의 혁신 수준을 넘어, 국가 전략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AI 기술이 단순한 경제적 효율성 도구에 그치지 않고, 사회 문제 해결, 행정 혁신, 국가 안보 강화, 문화 산업의 생산성과 창의성 확대 등 다면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베이징대학교 정보기술정책연구원 장훙웨이(张宏伟) 교수는 이에 대해 “중국의 AI 산업은 단순한 추격 단계를 넘어 독자적 생태계를 형성하려는 방향으로 진입하고 있다. 문제는 기술 그 자체보다 이를 둘러싼 제도, 사람, 시장 간의 조화이며, 지금 중국은 그 ‘조화’를 실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중국의 AI 확장은 기술 규범 경쟁이라는 새로운 외교 무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AI의 공정성과 책임성 등 글로벌 윤리 기준을 둘러싼 논의에서, 중국은 ‘기술 우선’ 기조에 기반한 독자적 접근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국제 협력과 충돌이 교차하는 복잡한 협상 지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경제적으로도 AI 산업은 중국의 저성장 국면을 타개할 돌파구로 부상하고 있다.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제조업 중심 성장 모델이 한계에 도달한 상황에서, AI는 스마트화된 생산성을 통해 새로운 고부가가치 산업 생태계를 형성하며 국가 경제의 질적 전환을 견인하고 있다. 현재 중국은 스마트 헬스케어, 자율주행차, 지능형 도시 인프라 등을 전략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으며, 향후 5년간 ‘AI+산업’, ‘AI+도시’, ‘AI+교육’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기술과 정책의 융합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이 같은 AI 중심 전략은 단순한 산업 성장의 문제가 아니라, ‘중국식 디지털 사회주의 모델’ 구현의 핵심 수단으로 작동하고 있다. 그 성패 여부는 아직 예단할 수 없지만, 그 전개 과정 자체가 국제 기술 질서의 향방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은 분명하다. 2025년 현재, 중국은 AI를 통해 미래를 설계하는 ‘거대한 전환기의 정점’에 서 있다. 이 거대한 실험이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지만, 그 과정에서 쌓이는 데이터, 인재, 규범, 산업 구조는 향후 세계 기술 패권의 지형을 바꿔놓을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위 원고는 현지 외부 전문가가 작성한 원고로, (사)경북PRIDE기업 CEO협회의 공식 의견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